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스파탐 발암물질 제로콜라 막걸리

by khdps 2023. 7. 1.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설탕을 대체하는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음료·제과·식품 업계에서도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제품이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스파탐이 들어있는 제품을 파는 일부 업체들에선 “대체재를 쓰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란 반응을 보였다. - 한겨례-

 

아래 표는 발암물질 등급 분류표이다. 여기에서 아스파탐은 2B군에 속한다. B군은 인체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그동안 WHO 산하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을 일일 제한량 이내로 섭취하면 안전하다고 해왔다. 몸무게 60㎏의 성인은 하루에 12~36캔의 제로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하다는 식이었다. 그러나 IARC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하면 JECFA의 기준에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아스파탐(Aspartame)이란?

아스파탐(Aspartame)은 현대 식품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입니다. 이 감미료는 당의 대안으로 사용되며, 낮은 칼로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강한 감미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스파탐은 페닐알라닌, 아스파르틱 애씨드, 메틸 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의 조합으로 당의 감미 효과를 모방합니다.

 

아스파탐의 음식 및 음료 사용

아스파탐은 주로 음료 및 식품에서 사용됩니다. 다이어트 음료, 저칼로리 음료, 사탕, 초콜릿, 건강 보조 식품 등 다양한 제품에 아스파탐이 첨가됩니다. 아스파탐은 당과 비교해 약 200배 정도 강한 감미력을 가지고 있어 소량으로도 충분한 감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스파탐은 당처럼 녹지 않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되는 제품에도 적합합니다.

 

 아스파탐의 잠재적인 부작용과 주의사항

아스파탐을 섭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페닐케톤뇨증이라는 유전적인 대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아스파탐을 소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대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아스파탐을 섭취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아스파탐이 들어간 식품군

다이어트 음료: 저칼로리 음료나 다이어트 음료 중 일부는 아스파탐이 사용되어 당의 대체재로 활용됩니다. 다이어트 콜라, 다이어트 스프라이트 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저칼로리 사탕 및 초콜릿: 다이어트를 지키면서도 간식을 즐기고 싶을 때 아스파탐이 사용된 저칼로리 사탕이나 초콜릿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들 제품은 아스파탐을 사용하여 당의 감미 효과를 제공하며, 칼로리를 줄여줍니다.

건강 보조 식품: 건강 보조 식품 중 일부는 아스파탐이 첨가되어 칼로리를 줄이고 감미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다이어트 바, 저칼로리 단백질 파우더, 건강 음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인스턴트 음식: 아스파탐은 특정 인스턴트 음식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저칼로리 인스턴트 커피 믹스, 다이어트 죽 등은 아스파탐이 첨가된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저칼로리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아스파탐이 포함된 식품의 예시이며, 다양한 식품과 음료에서 아스파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제품의 성분표와 레이블을 읽어보고 적절한 섭취량과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아스파탐 막걸리 총정리를 한번 살펴 보자.

 

아스파탐을 포함한 감미료 전반에 대한 제품 후면 라벨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