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미국을 다시 재건하겠다는 구호로 2024년 미국 대선에 당선되었다. Make America Great Again.
전 세계와 한국에 미칠 파장이 어마어마하다. 이전 바이든 민주당 정권과 사회 경제 문화 전반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 이를테면 우리나라 국힘과 민주당의 시각정도 되겠다.. 더 심한 것 같다.
그가 미국을 어떻게 재건할 것이고 우리나라에 미칠 파장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1. 관세
중국제품에 대해서 관세를 60% 매기겠다고 하고, 다른나라에 대해서도 관세를 기본적으로 20%를 붙인다고 한다.
한미 FTA는 이제는 과거 유물로.. 역시 강대국은 자신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한다.
우리 같이 수출주도형 국가는 치명적이다. 삼성반도체에서 부터 엘지전자, 하이닉스, 현대자동차, 조선업 등 거의 모든 제품이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하는 수출 주도형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그중에서 미국은 2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국가이다. 그런데 미국이 한국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한국 제품에 대한 인기가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자국의 물가를 인상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하지만, 그것 보다 더 자국의 제조업을 보호하겠다는 보호무역으로 자국의 제조업 생산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그리고 한편으로 미국으로 들어와 공장을 지으라는 압박의 메시지기도 하다. 모든 생산 기지를 이제는 중국과 인도가 아닌 미국 내에서 공장을 풀가동 하여, 생산 기지로서의 공급처 역할과 자국민의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잡겠다는 것이다.
이미 바이든 정부의 코로나 이후 리쇼어링 효과로 자국내 일자리 창출 효과는 대단했다. 급격한 금리인하와 무제한 돈살포 속에서도 미국이 버틴 이유는 리쇼어링 효과가 크다.
보통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소비가 둔화되며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고 일자리 축소로 이어지게 되며 대량 실업의 결과로 불경기 침체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금리 인상으로 소비가 둔화되기는 커녀 일자리 창출 효과로 내수가 돌면서 미국은 여전히 독자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족의 기세를 자랑하고 있다.
이 같은 트럼프의 관세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 관세 부작용
값싼 중국산과 기타 국가에 대해 관세를 매김으로써 미국 자국 내 물가 인상으로 이어진다. 트럼프는 싫어하는 것 중에 하나가 물가 인상이다. 현재 연준은 고금리 속 안정정인 성장세를 가져감에 따라 서서히 물가를 낮추는 중이다. 세계 증시는 연준의 금리 향방에 따라 돈의 흐름과 주식 투자를 다르게 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전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정책 기조가 계속되리라 보고 있었지만, 현재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물가인상으로 인해 저금리 정책 기조에 다소 변화가 있을 것 같다.
3. 영향
트럼프는 물가 인상을 싫어 한다. 관세 영향으로 인한 자국 내 물가 인상을 관망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가 돌파하려는 생각은 무엇인가?? 동맹국들에게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한국의 현대자동차는 관세로 인해 자동차 가격이 20% 상승하게 되면 가격 경쟁력 많이 취약해진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165만대를 판매했다. 이중 절반 이상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어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부담이 큰 상황이다. 조희승 IM증권 연구원은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판매 대수 중 국내 생산 비중은 9월 누적 기준으로 65%, 52%에 해당하는데 고부가 가치 차종은 대부분 국내 공장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관세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라고 했다. 그는 트럼프가 당선 후 관세 10%~20%를 부과할 경우(생산자가 전부 부담한다는 가정하에) 현대차와 기아에게는 각각 월 2000억~4000억 원, 1000억~2000억 원의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코스피의 전망은 갈수록 암울해 지고 있다.
한국에 있는 제조기반의 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가 생산하게 되면 수익이 난 달러를 다시 한국으로 들고 오기가 쉽지 않다. 강달러의 영향으로 손해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미국에서 생산하게 되지 않으면 수출품에 대한 관세 정책으로 가격 경쟁력을 가져가기 힘들어 한국 기업들에 대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다음에 이어서 k뷰티, 조선, 방산 및 국제전망....
댓글